본문 바로가기

일상 및 자유글

씩빵의 꿀팁) 좋은 컴퓨터 조립하기 1편 - 라이젠 vs 코어 i

안녕하세요. 씩빵맨입니다.

 

오늘은 좋은 컴퓨터 조립하기 1편 - 라이젠 vs 코어 i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라이젠(RYZEN)은 AMD라는 회사에서 만든 CPU입니다.

코어 i(Core i)는 인텔이라는 회사에서 만든 CPU입니다.

 

라이젠 2세대(젠+)까지는 호불호가 명확히 갈렸습니다.

게임은 인텔, 작업은 라이젠 이런 식으로 말이죠.

 

실제로 2세대 라이젠이랑 동세대 i시리즈, 즉 그 당시 동급 CPU를 비교 시

단일 코어 위주로 구동되는 게임 같은 경우, 라이젠 대비 단일 코어 성능이 좋은 인텔이 유리했죠.

물론 그 이외에 다른 항목에서는 라이젠이 전부 앞섰습니다.

 

하지만, 라이젠 3세대(젠2) 부터는 다릅니다.

라이젠의 약점인 클럭 당 성능, 즉 IPC가 크게 개선되어, 동일 클럭에서는 인텔보다 더 좋은 성능을 보여주죠.

(다만, 인텔이 라이젠 3세대 대비 기본클럭은 높은편이라 싱글 코어 성능은 완전히 앞섰다고는 보기 어렵습니다.)

게임이 아닌 항목 중에 어도비 프로그램에서도 라이젠이 상대적으로 열세였는데, 라이젠 3세대 부터는 어도비에서도 동급의 i시리즈보다 성능에서 앞섰습니다.

 

이외에도 라이젠이 i시리즈보다 좋은 점이 인텔은 K나 KF가 붙은 CPU를 사야 오버클럭이 되지만, 라이젠은 모바일과 듀얼코어(애슬론 200GE 등 라이젠 기반 듀얼코어 APU)를 제외한 전 라인업에서 오버클럭이 가능합니다. 심지어 라이젠 중 가장 저렴한 쿼드코어 APU 라인업인 라이젠 3 2200G도 오버클럭이 됩니다. 즉, 라이젠 3세대 사서 오버클럭 하면 인텔보다 성능이 더 좋게 나오죠.

 

개인적으로 지금은 인텔을 살 시기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라이젠이 애초에 멀티코어 성능은 동급 인텔을 따돌렸으며, 라이젠의 약점인 클럭 당 성능 역시 큰 폭으로 개선되어 같은 클럭이면 라이젠 3세대가 인텔보다 싱글코어 성능이 더 높습니다. 따라서 인텔이 올해 하반기에 10nm급 새로운 CPU를 내놓기 전까지는 인텔보다는 라이젠으로 가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라이젠 3세대보다 인텔의 좋은 점도 있습니다.

 

첫 번째는 클럭 당 성능은 라이젠 3세대가 인텔보다 좋지만 기본클럭이 라이젠 3세대보다 높아 오버클럭을 안 한 경우 라이젠보다 쾌적하다고 느낄 수 있어 오버클럭을 아예 모르는 초짜에게는 득이 될 수도 있죠. 하지만 오버클럭을 안 한 라이젠도 당연히 최신 CPU답게 엄청 쾌적하고 빠르기 때문에 큰 메리트는 아닙니다.

 

두 번째로 바로 해킨토시(커스텀맥) 때문이죠. 애플의 맥은 아직까지 인텔 CPU만 사용하고 있기에, 라이젠에는 맥OS 포팅이 어려워서 해킨토시 구현이 어렵습니다. 물론 능력자들은 라이젠에도 해킨토시를 포팅하여 사용할 수는 있습니다. 다만, 라이젠에서 해킨토시를 사용하면 인텔에 비해 꽤 불안정하긴 하죠.

 

즉, 현재로서는 무조건 라이젠 3세대를 추천해드리고 싶지만 라이젠보단 인텔이 더 유리한 상황도 있긴 있다는 겁니다.

(참고로 본인은 라이젠 7 3700X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씩빵맨의 추천 CPU (신품기준)

 

1. 저가 가성비 - 단순 웹서핑, 영화감상, 캐주얼게임

Athlon 200GE (5만원) - 2코어 4스레드

RYZEN 3 2200G (7만원) - 4코어 4스레드

 

2. 게임 가성비 - 캐주얼게임 및 중사양게임 풀옵/고사양게임 중옵

RYZEN 5 2600 (14만원) - 6코어 12스레드

RYZEN 5 3600 (26만원) - 6코어 12스레드

* 오로지 게임만 할 거라면 인텔 Core i5-9400F (18만원)도 괜찮음.

 

3. 원활 가성비 - 고사양게임 상옵

RYZEN 5 3600X (35만원) - 6코어 12스레드

RYZEN 7 3700X (44만원) - 8코어 16스레드

 

4. 멀티 가성비 - 작업 및 원컴게임방송

RYZEN 7 3700X (44만원) - 8코어 16스레드

RYZEN 9 3900X (75만원) - 12코어 24스레드

* 돈이 없다면 RYZEN 7 2700 (27만원)도 괜찮으나, 방송을 안 했을때의 게임 성능은 2세대라 그리 좋지 못합니다. 오로지 작업 및 게임 원컴 방송용르로만 쓰신다면 괜찮음.

 

 

* 인텔은 해킨토시 등 특수한 목적이 아니면 개인적으로 지금 상황에서는 무조건 비추천합니다. (말리진 않겠습니다. 이건 제 생각이고 여러분 선택은 자유니까요.)

* 라이젠 2세대는 2200G, 2600 빼고 3세대가 나온 현재로서는 가성비가 안 좋아져서 비추합니다. 물론 중고로 사신다면 라이젠 2세대 역시 가성비가 매우 좋습니다. 중고 가성비는 1600, 1600X, 1700 같이 1세대 헥사~옥타 모델도 좋아요.

* 라이젠 3세대 중 3200G, 3400G, 3800X는 가성비가 안좋은 제품이라 비추천합니다.

 

* 참고로 라이젠에서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쓰실 분 중 AVD(x86) 사용하실 분들은 윈도우를 아직까지는 1809로 설치하세요. 라이젠이 1903에서 1809보다 성능(체감성능 및 벤치점수 모두 향상)이 향상된 것도 사실이고, 원래는 라이젠에서 AVD를 사용하려면 윈도우 기능에서 하이퍼바이저를 키면 인텔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1903은 라이젠에서 하이퍼바이저에서 버그가 존재하여 x86 AVD가 실행이 안 되고 엄청느린 ARM AVD만 실행됩니다. 물론 저처럼 안드로이드 기기를 PC에 직접 USB로 연결해서 AVD를 안 거치고 바로 실행테스트 하시는 분들은 상관없습니다.

 

 

결론 :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지금은 라이젠의 시대입니다. 라이젠의 단점이 대부분 개선된 지금 상황에서 해킨토시같이 특수한 용도가 아닌 이상 무조건 '라이젠'을 고르는 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라이젠의 약점인 IPC도 고쳐졌고, 멀티 코어 성능은 예전부터 라이젠이 동급 i시리즈보다 좋았으니까요.

 

선택은 자유지만, 참고하시라고 한번 글 올려봅니다. 이상입니다.